소리바다가 문을 닫고, 벅스가 유료화 해봤자, P2P 기술이 없어지지 않는 한, 아니 인터넷이 없어지지 않는 한, 인터넷에서 음원공유는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물론, 그 비율은 어느정도 감소할 수 있겠지만, 현재로써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이러한 흐름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본다. 그렇게다면 거기에 따른 행동양식과 소비패턴의 변화 또한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예전엔 원하는 노래를 듣기 위해 라디오나 티비를 이용해야 겠다.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오직 음반 구입 밖에 없었다. 하지만 요즘은 불법 다운로드가 아니더라도 인터넷만 들어가면 언제든지 원하는 노래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즉, 소유와 소장의 의미가 아니라면 굳이 음반을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가 됐다. 물론 장소와 시간에 구애없이 음악을 들으려면 구입을 해야 겠지만, 그 비율도 줄어든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실용적인 면에서도 음반을 구입해 cd 플레이어를 들고 다니는 것보다 조그만 mp3 플레이어에 많은 음악을 담아 듣는 것이 편하게 됐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자신의 구입한 음반에서 mp3를 추출하는 것조차 막아놔 버렸으니 누가 음반을 구입하겠는가.

그런데도 기획사와 가수들은 아직도 예전 백만장 시대만을 추억하며 모든것을 네티즌 탓으로 돌리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묻고 싶다. 왜 cd 시장에서 mp3 시장으로 넘어갈 동안 수익구조를 찾지 못한 것인지. 비단 네티즌만을 탓해야 할 것이지 말이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불법을 조장한 채 불법 속에서 네티즌 만을 탓할 것이 아니라 생산자나 소비자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수익구조를 찾아야 한다.

그리고 한가지, 예전엔 놀이문화가 한정되어 있어, 음악 감상이란 놀이에 편중된 경향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음악이 아니더라도 놀꺼리가 많이 생겼다. 디지터카메라, 핸드폰, 인터넷 게임, 비디오 게임과 같은 것들이 생겨나면서 더 이상 음악만을 듣는 시대가 아니게 됐다. 그런 점도 현재와 같이 저조한 음반 판매율을 기록하는 것에 중요한 이유가 될 것이라 본다. 개인적으론 요즘엔 소장할 만큼 가치있는 음반이 보이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