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를 고작 연장 10분과 승부차기 밖에 보지 못해서 경기 내용에 대한 얘기는 나중으로 미뤄야겠지만, 박지성의 결장은 꽤나 충격적이다. 리그에서보다 챔스에서의 경기력이 더 좋았기에 다들 긱스보다 선발 출장이 유력할 것이라 예상했었는데, 의외의 복병 하그리브스에게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어쩌면 내년부터는 다소 주춤한 긱스대신 하그리브스와 경쟁해야 할지 모르는 박지성의 현재 위치이기도 하다.
사실 4강 바르셀로나 전에서의 선발 출장이 다소 놀라웠기 때문에 돌려서 생각해보면 챔스 결승에서의 결장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지난 시즌까지도 강팀과의 경기에선 항상 박지성은 제외되곤 했었다. 즉, 그의 달리진 위상은 최근 몇 경기 내에만 국한된 것이었다. 결국 강팀과의 경기에서 박지성이 제외되었던 수순이 이번 챔스 결승에서 재확인 된 것이다.
누가 뭐래도 박지성의 강점은 공간 창출 능력과 수비력, 그리고 성실함이다. 하지만 여기에 프리킥 능력과 풀백을 소화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적 능력을 갖춘 선수가 바로 하그리브스다. 본래 중앙 자원으로 데려온 선수지만, 스콜스와 캐릭에 밀려 제자리는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최근 비디치가 부상 당하면서 브라운이 중앙으로 옮겨갔고, 그 자리는 하그리브스가 맡으면서 자연스레 하그리브스의 진가는 살아나기 시작했다.
즉, 나니나 긱스에 비해 안정적인 수비를 바탕으로 적절한 공격을 해줄 수 있는 선수가 바로 하그리브스로 낙점된 것이다.
다시 퍼거슨은 교체카드로써 고민이 생긴다. 오셔와 실베스트르는 수비자원으로, 안데르손과 플레처를 미들자원으로, 긱스와 나니를 공격자원으로 분류했을 때 공격적 상황이나 수비적 상황에서 어떤 교체카드를 꺼내야 할지 말이다. 수비적 상황에서 오셔와 실베스트르는 현재 맨유가 교체할 수 있는 최고의 자원들이다. 공격적 상황에선 맨유의 '정신적 지주' 긱스는 버리기 힘든 카드이다. 그리고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보여준 그의 골은 클래스가 건재함을 보여주기 충분했다.
결국 나니와 박지성을 비교했을 때, 스피드나 개인기에서 탁월한 나니가 교체카드로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결정적으로 나니에게는 박지성에게 없는 한방이 있다. 즉, 골을 기대할 수 있는 선수란 얘기다. 게다가 그의 중거리 슈팅은 박지성에겐 없는 또 다른 무기다.
이에 반해 박지성은 결정적인 찬스에서 마저 슈팅을 너무 아낀다. 지난 마지막 리그 경기에서도 보여줬든 박지성은 정면 골찬스에서 마저 주변 선수에게 내주는 패스를 자주 한다. 결국 이러한 골 결정력 부재가 박지성 자신을 어저쩡한 카드로 만들어 버렸다.
다소 아쉬운 점이라면 플레처한테까지 밀려 교체명단에도 들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물론 스콜스와 캐릭을 대비해 2명의 교체자원을 준비해야 하지만, 안데르손과 다른 멀티플레이어, 가령 하그리브스나 오셔정도로 준비하고 박지성을 명단에 넣었으면 어땠나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다음시즌 박지성에게 필요한 것은 윙포워드로써 부족한 골 결정력이다. 기회가 왔을 때는 확실히 골로 진가를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슈팅에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결국 기억되는 것은 골이나 어시스트지, 활동량이 아니다.
사실 4강 바르셀로나 전에서의 선발 출장이 다소 놀라웠기 때문에 돌려서 생각해보면 챔스 결승에서의 결장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지난 시즌까지도 강팀과의 경기에선 항상 박지성은 제외되곤 했었다. 즉, 그의 달리진 위상은 최근 몇 경기 내에만 국한된 것이었다. 결국 강팀과의 경기에서 박지성이 제외되었던 수순이 이번 챔스 결승에서 재확인 된 것이다.
누가 뭐래도 박지성의 강점은 공간 창출 능력과 수비력, 그리고 성실함이다. 하지만 여기에 프리킥 능력과 풀백을 소화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적 능력을 갖춘 선수가 바로 하그리브스다. 본래 중앙 자원으로 데려온 선수지만, 스콜스와 캐릭에 밀려 제자리는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최근 비디치가 부상 당하면서 브라운이 중앙으로 옮겨갔고, 그 자리는 하그리브스가 맡으면서 자연스레 하그리브스의 진가는 살아나기 시작했다.
즉, 나니나 긱스에 비해 안정적인 수비를 바탕으로 적절한 공격을 해줄 수 있는 선수가 바로 하그리브스로 낙점된 것이다.
다시 퍼거슨은 교체카드로써 고민이 생긴다. 오셔와 실베스트르는 수비자원으로, 안데르손과 플레처를 미들자원으로, 긱스와 나니를 공격자원으로 분류했을 때 공격적 상황이나 수비적 상황에서 어떤 교체카드를 꺼내야 할지 말이다. 수비적 상황에서 오셔와 실베스트르는 현재 맨유가 교체할 수 있는 최고의 자원들이다. 공격적 상황에선 맨유의 '정신적 지주' 긱스는 버리기 힘든 카드이다. 그리고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보여준 그의 골은 클래스가 건재함을 보여주기 충분했다.
결국 나니와 박지성을 비교했을 때, 스피드나 개인기에서 탁월한 나니가 교체카드로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결정적으로 나니에게는 박지성에게 없는 한방이 있다. 즉, 골을 기대할 수 있는 선수란 얘기다. 게다가 그의 중거리 슈팅은 박지성에겐 없는 또 다른 무기다.
이에 반해 박지성은 결정적인 찬스에서 마저 슈팅을 너무 아낀다. 지난 마지막 리그 경기에서도 보여줬든 박지성은 정면 골찬스에서 마저 주변 선수에게 내주는 패스를 자주 한다. 결국 이러한 골 결정력 부재가 박지성 자신을 어저쩡한 카드로 만들어 버렸다.
다소 아쉬운 점이라면 플레처한테까지 밀려 교체명단에도 들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물론 스콜스와 캐릭을 대비해 2명의 교체자원을 준비해야 하지만, 안데르손과 다른 멀티플레이어, 가령 하그리브스나 오셔정도로 준비하고 박지성을 명단에 넣었으면 어땠나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다음시즌 박지성에게 필요한 것은 윙포워드로써 부족한 골 결정력이다. 기회가 왔을 때는 확실히 골로 진가를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슈팅에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결국 기억되는 것은 골이나 어시스트지, 활동량이 아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