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우 신부전 환자의 원인 질병 중 고혈압은 당뇨병에 이어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장은 살아가면서 생성되는 노폐물을 소변으로 제거하고, 몸의 수분과 염분의 균형을 유지하며 혈압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합성한다. 따라서
신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수분과 염분 배설이 저하되고, 신장의 호르몬 이상에 의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가 부적절하게
자극돼 이차적인 혈관수축을 유발하기 때문에 신장질환에 고혈압이 동반된다.
신장은 인체 혈압의 변화에 따라 신장 내 혈류량과 사구체 혈압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가 조절 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혈압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혈압이 사구체와 신장 내 혈관에 손상을 주면서 사구체 경화증을 유발한다.
또 만성 간질성 신염, 당뇨병성 신증, 낭종성 신질환 등 만성 신질환 환자 대부분이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으며 콩팥기능이 감소할수록 고혈압의 유병률과 중증 고혈압을 보이는 환자 비율이 증가된다.
신장 질환이진행되면 신기능이 저하되고 결국 투석이나 이식이라는 '신(腎) 대체 요법'을 써야 한다. 이 때문에 신장 질환자의 신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혈압 조절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손쉽게 즐겨 먹는 다양한 음식에는 나트륨(염분)이 과잉 함유돼 있으며, 이는 고혈압 발병 위험을 높인다.
짠 술안주를 먹으면 고혈압으로 갈 위험이 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식·일식 요리를 좋아할 경우에도 고혈압으로 갈 위험성이 2.1배 높았다. 또한 말린 생선이나 고등어자반을 즐겨 먹으면 고혈압 위험이 1.9배 높아지며, 국·찌개·국수 등의 국물을 남기지 않고 다 먹을수록 발병위험도는 3배 이상으로 훌쩍 뛰어넘게 된다.
외식을 자주 하는 습관 역시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음식을 자주 먹거나 외식을 자주 할수록 고혈압은 1.5배 이상 더 높게 나타났다.
한여름 시원하다며 들이켜기 쉬운 물김치에도 의외로 많은 나트륨이 포함돼 있다. 국물까지 전부 섭취하는 방식으로 물김치를 즐기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고혈압이 될위험성이 2배 이상 높다.
전문가들은 염분을 과다 섭취하면 혈압이 높게 유지되고 항고혈압치료제의 효과도 감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한다. 실제 심하지 않은 고혈압환자들은 염분 섭취를 하루 4~6g으로 제한하기만 해도 혈압이 조절되기도 한다.
특히 가공식품이나 화학조미료인 'MSG'가 많이 들어있는 식품은 염분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나트륨과 MSG가 많이 들어있는 라면 국물은 먹지 않고 버리는 것이 건강상 낫다는 게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MSG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일부에게 섭취를 제한하는 물질이다.
신장에서의 염분 흡수 과다는 본태성 고혈압이나 신장에 의한 고혈압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거꾸로 사구체신염 등의 신질환에서 고혈압이 잘 동반된다. 이는 신장 경화증의 진행을 가속화시켜 말기 신부전으로 빠지게 하기 때문이다.
고혈압 치료에는 먼저 체중 감소, 음주 제한, 염분 섭취 제한, 운동, 칼륨과 칼슘 섭취, 금연 등의 비약물적 치료 등이 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의 변화는 그 자체가 혈압을 낮추고 약 효과를 높여 약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체중 감소는 체질량 지수(BMI, 체중 ㎏/(신장 m))를 18.52∼4.9 정도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보통 10㎏의 체중 감량은 5∼20㎜Hg의 혈압 감소를 가져온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키므로 하루 에탄올 섭취는 30g(맥주 720㎖, 와인 240㎖) 미만으로 한다. 운동에는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체조 등 매일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이 좋으며, 운동의 강도, 횟수 및 지속 시간 등은 개인의 신체 상태에 따라 전문가의 처방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음식은 육류, 기름을 피하고 채소와 등줄 푸른 생선을 섭취하도록 노력한다. 또한 담배를 중단하고 생활 속에서 스트레스를 피하고 마음의 여유를 가지는 자세가 고혈압 치료에 도움이 된다.
신장 질환과 관련된 고혈압 약물은 한 가지 약으로 혈압조절이 어려우면 서로 작용이 다른 약제를 소량부터 추가한다. 이뇨제, 베타 차단제, 교감신경 억제제, 혈관 확장제 및 칼슘 통로 차단제 등 여러 약제를 효과적으로 선택해 함께 투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표 혈압에 도달할 때까지 적어도 2주 내지 한 달에 한 번씩 병원을 방문하여 혈압 조절 정도, 약제 부작용 등을 평가받는 게 좋다. 특별한 부작용 없이 목표 혈압에 도달하였다면 초기 치료에 사용된 약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나,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약제의 용량 증가, 새로운 약제 첨가 및 투여 중인 약제 교체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에는 환자와 의사 사이의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
도움말=이인희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신장내과 교수)
신장은 인체 혈압의 변화에 따라 신장 내 혈류량과 사구체 혈압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가 조절 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혈압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혈압이 사구체와 신장 내 혈관에 손상을 주면서 사구체 경화증을 유발한다.
또 만성 간질성 신염, 당뇨병성 신증, 낭종성 신질환 등 만성 신질환 환자 대부분이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으며 콩팥기능이 감소할수록 고혈압의 유병률과 중증 고혈압을 보이는 환자 비율이 증가된다.
신장 질환이진행되면 신기능이 저하되고 결국 투석이나 이식이라는 '신(腎) 대체 요법'을 써야 한다. 이 때문에 신장 질환자의 신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혈압 조절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손쉽게 즐겨 먹는 다양한 음식에는 나트륨(염분)이 과잉 함유돼 있으며, 이는 고혈압 발병 위험을 높인다.
짠 술안주를 먹으면 고혈압으로 갈 위험이 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식·일식 요리를 좋아할 경우에도 고혈압으로 갈 위험성이 2.1배 높았다. 또한 말린 생선이나 고등어자반을 즐겨 먹으면 고혈압 위험이 1.9배 높아지며, 국·찌개·국수 등의 국물을 남기지 않고 다 먹을수록 발병위험도는 3배 이상으로 훌쩍 뛰어넘게 된다.
외식을 자주 하는 습관 역시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음식을 자주 먹거나 외식을 자주 할수록 고혈압은 1.5배 이상 더 높게 나타났다.
한여름 시원하다며 들이켜기 쉬운 물김치에도 의외로 많은 나트륨이 포함돼 있다. 국물까지 전부 섭취하는 방식으로 물김치를 즐기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고혈압이 될위험성이 2배 이상 높다.
전문가들은 염분을 과다 섭취하면 혈압이 높게 유지되고 항고혈압치료제의 효과도 감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한다. 실제 심하지 않은 고혈압환자들은 염분 섭취를 하루 4~6g으로 제한하기만 해도 혈압이 조절되기도 한다.
특히 가공식품이나 화학조미료인 'MSG'가 많이 들어있는 식품은 염분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나트륨과 MSG가 많이 들어있는 라면 국물은 먹지 않고 버리는 것이 건강상 낫다는 게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MSG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일부에게 섭취를 제한하는 물질이다.
신장에서의 염분 흡수 과다는 본태성 고혈압이나 신장에 의한 고혈압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거꾸로 사구체신염 등의 신질환에서 고혈압이 잘 동반된다. 이는 신장 경화증의 진행을 가속화시켜 말기 신부전으로 빠지게 하기 때문이다.
고혈압 치료에는 먼저 체중 감소, 음주 제한, 염분 섭취 제한, 운동, 칼륨과 칼슘 섭취, 금연 등의 비약물적 치료 등이 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의 변화는 그 자체가 혈압을 낮추고 약 효과를 높여 약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체중 감소는 체질량 지수(BMI, 체중 ㎏/(신장 m))를 18.52∼4.9 정도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보통 10㎏의 체중 감량은 5∼20㎜Hg의 혈압 감소를 가져온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키므로 하루 에탄올 섭취는 30g(맥주 720㎖, 와인 240㎖) 미만으로 한다. 운동에는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체조 등 매일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이 좋으며, 운동의 강도, 횟수 및 지속 시간 등은 개인의 신체 상태에 따라 전문가의 처방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음식은 육류, 기름을 피하고 채소와 등줄 푸른 생선을 섭취하도록 노력한다. 또한 담배를 중단하고 생활 속에서 스트레스를 피하고 마음의 여유를 가지는 자세가 고혈압 치료에 도움이 된다.
신장 질환과 관련된 고혈압 약물은 한 가지 약으로 혈압조절이 어려우면 서로 작용이 다른 약제를 소량부터 추가한다. 이뇨제, 베타 차단제, 교감신경 억제제, 혈관 확장제 및 칼슘 통로 차단제 등 여러 약제를 효과적으로 선택해 함께 투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표 혈압에 도달할 때까지 적어도 2주 내지 한 달에 한 번씩 병원을 방문하여 혈압 조절 정도, 약제 부작용 등을 평가받는 게 좋다. 특별한 부작용 없이 목표 혈압에 도달하였다면 초기 치료에 사용된 약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나,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약제의 용량 증가, 새로운 약제 첨가 및 투여 중인 약제 교체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에는 환자와 의사 사이의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
도움말=이인희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신장내과 교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