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석과 하정우의 만남, 그 사실만으로도 <추격자>는 충분히 기대케하는 작품이었다. 개봉만을 손꼽아 기다렸다. <추격자>는 전체적으로 너무 뻔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독특한 객색으로 매력적인 분위기를 자아냈고, 관객과 함께 호흡할 수 있도록 완급조절이 잘 되어 있었다. 제목처럼 추격씬은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너무 빠르다 싶을 정도로 지영민(하정우)은 엄중호(김윤석)에게 일찍 잡혀 버린다. 그런데 엄중호는 아직도 뛰고 있다. 지영민의 증거를 그리고 미진을 찾아...
<추격자>는 독특한 설정 속에 시작된다. 보통 연쇄살인범을 쫒는것은 형사이지만 <추격자>는 그렇지 않다. 바로 보도방 사장이다. <추격자>는 연쇄살인범 유형철을 체포하는데 보도방의 그들이 공헌했다는 사실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엄중호는 너무나 비윤리적이고, 전혀 정의롭지 못하다. 그래서인지 시작은 불편하다. 지영민에 대한 추격 역시 미진을 위함이 아니고 자신을 위함이었다. 자신의 여자들을 팔아먹었다는 그래서 돈을 받아내야 겠다는 그런 치졸한 이유에서 말이다. 하지만 꽤나 리얼하고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또 하나, 연쇄살인범 지영민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주지 않는다. 여러 스릴러에선 연쇄살인범의 사연과 동기에 대해 주목한다. 그리고 일말의 동정의 여지를 남겨둔다. 그가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 사연과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 안타까워 하게 만든다. 하지만 <추격자>는 다르다. 지영민에 대한 한치에 정보도 주지 않음으로써 관객이 그에게 동정할 가치조차 주지 않도록 만든다. 그에겐 전혀 감정을 이입할 필요성을 못 느끼게 만든다. 그다지 윤리적이지 못한 엄중호 폭력에 동참하게 만든다.
엄중호는 죄책감때문인지, 책임감때문인지 언제부턴가 미진의 생사에 대해 필사적이고, 미진의 죽음에 대해 분노한다. 하지만 전혀 신파적이지 않다. 억지 눈물 내지는 억지 감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관객들을 엄중호에게 지영민에 대한 복수를 부탁할 요량이 되어버린다.
가장 클라이막스는 바로 슈퍼씬이 아닌가 싶다. 모두가 숨죽이고 있다. 미진도, 관객도, 여형사도. 미진은 이미 관객에서 있어서 감정이 이입되어 있는 인물이다. 모두가 그의 생사를 걱정하고, 기원한다. 만약 미진이 살았다면 엄중호는 지영민을 잡아 경찰에 넘기는 것에 그쳤을 것이다. 그리고 미진은 아이와 재회하는 그런 모두가 행복한 엔딩을 꿈꿀 수 있었을 것이다. 내 옆 여자 관객이 "미진은 살려주지"라고 그러했듯 말이다.
하지만 감독은 극단적 결정을 한다. 굉장히 기분 나쁘고, 찜찜한 결정을 말이다. 그런 감독의 결정은 관객으로 하여금 굉장히 불쾌하고, 불편한 감정을 자아낸다. 그 더럽고 찝찝한 맛은 영화가 끝난 후에도 계속 된다. 하지만 나쁘지 않았다. 그런 결정으로 인해 엄중호는 지영민에 대한 복수심을 더 불태울 수 있었고, 관객으로 엄중호의 복수에 동참할 수 있었다.
<추격자>는 장면, 장면과 순간, 순간의 느낌은 여러 영화(<살인의 추억>, <세븐데이즈>, <공공의 적>, <올드보이>)를 떠올리게 하지만 그들과 전혀 다르다. 그건 단지 느낌일 뿐이고 영화 자체의 성격이나 성질은 출신 성분부터 다르다. 그만큼 감독은 (장편영화) 데뷔작을 멋지게 장식했다. 하정우에겐 미안하게도 김윤석의 포스가 너무나 강력한 나머지 그의 멋지고도 비열한 그리고 섬뜻한 연기가 가려져 버렸다. 그 만큼 김윤석은 강했고, 치열했다. 영화 내내 엄중호(김윤석)와 함게 호흡할 수 밖에 없었다. <올드보이>의 오대수가 최민식이어야 하고, <살인의 추억>의 박형사가 송강호이어야 하듯 <추격자>의 엄중호는 김윤석이어야만 했다.
9.0점
<추격자>는 독특한 설정 속에 시작된다. 보통 연쇄살인범을 쫒는것은 형사이지만 <추격자>는 그렇지 않다. 바로 보도방 사장이다. <추격자>는 연쇄살인범 유형철을 체포하는데 보도방의 그들이 공헌했다는 사실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엄중호는 너무나 비윤리적이고, 전혀 정의롭지 못하다. 그래서인지 시작은 불편하다. 지영민에 대한 추격 역시 미진을 위함이 아니고 자신을 위함이었다. 자신의 여자들을 팔아먹었다는 그래서 돈을 받아내야 겠다는 그런 치졸한 이유에서 말이다. 하지만 꽤나 리얼하고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또 하나, 연쇄살인범 지영민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주지 않는다. 여러 스릴러에선 연쇄살인범의 사연과 동기에 대해 주목한다. 그리고 일말의 동정의 여지를 남겨둔다. 그가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 사연과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 안타까워 하게 만든다. 하지만 <추격자>는 다르다. 지영민에 대한 한치에 정보도 주지 않음으로써 관객이 그에게 동정할 가치조차 주지 않도록 만든다. 그에겐 전혀 감정을 이입할 필요성을 못 느끼게 만든다. 그다지 윤리적이지 못한 엄중호 폭력에 동참하게 만든다.
엄중호는 죄책감때문인지, 책임감때문인지 언제부턴가 미진의 생사에 대해 필사적이고, 미진의 죽음에 대해 분노한다. 하지만 전혀 신파적이지 않다. 억지 눈물 내지는 억지 감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관객들을 엄중호에게 지영민에 대한 복수를 부탁할 요량이 되어버린다.
가장 클라이막스는 바로 슈퍼씬이 아닌가 싶다. 모두가 숨죽이고 있다. 미진도, 관객도, 여형사도. 미진은 이미 관객에서 있어서 감정이 이입되어 있는 인물이다. 모두가 그의 생사를 걱정하고, 기원한다. 만약 미진이 살았다면 엄중호는 지영민을 잡아 경찰에 넘기는 것에 그쳤을 것이다. 그리고 미진은 아이와 재회하는 그런 모두가 행복한 엔딩을 꿈꿀 수 있었을 것이다. 내 옆 여자 관객이 "미진은 살려주지"라고 그러했듯 말이다.
하지만 감독은 극단적 결정을 한다. 굉장히 기분 나쁘고, 찜찜한 결정을 말이다. 그런 감독의 결정은 관객으로 하여금 굉장히 불쾌하고, 불편한 감정을 자아낸다. 그 더럽고 찝찝한 맛은 영화가 끝난 후에도 계속 된다. 하지만 나쁘지 않았다. 그런 결정으로 인해 엄중호는 지영민에 대한 복수심을 더 불태울 수 있었고, 관객으로 엄중호의 복수에 동참할 수 있었다.
<추격자>는 장면, 장면과 순간, 순간의 느낌은 여러 영화(<살인의 추억>, <세븐데이즈>, <공공의 적>, <올드보이>)를 떠올리게 하지만 그들과 전혀 다르다. 그건 단지 느낌일 뿐이고 영화 자체의 성격이나 성질은 출신 성분부터 다르다. 그만큼 감독은 (장편영화) 데뷔작을 멋지게 장식했다. 하정우에겐 미안하게도 김윤석의 포스가 너무나 강력한 나머지 그의 멋지고도 비열한 그리고 섬뜻한 연기가 가려져 버렸다. 그 만큼 김윤석은 강했고, 치열했다. 영화 내내 엄중호(김윤석)와 함게 호흡할 수 밖에 없었다. <올드보이>의 오대수가 최민식이어야 하고, <살인의 추억>의 박형사가 송강호이어야 하듯 <추격자>의 엄중호는 김윤석이어야만 했다.
9.0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