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장>이란 제목 때문에 좋은 영화를 놓칠 뻔 했다. 제목에 대한 첫느낌이 안성기가 나왔던 <묵공>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묵공>을 보진 않았지만 비슷한 시대물에 전장에서의 장군들의 지략대결로만 여겨 또 비슷한 류의 영화가 나왔구나 생각하고 지나치려 했었다. 하지만 영화의 중심은 '명장'들의 얘기가 아닌 '투명장'에 얽힌 명장들의 얘기였다. <명장>보단 <투명장>이 영화 제목에 어울리는 것 같다. <투명장>이란 원제를 왜 한글 제목으론 <명장>이라 바꿨는지 궁금하다.
영화 상에서 투명장은 <삼국지>의 도원결의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투명장을 바치니 이제부터 형제들의 목숨만 진정한 목숨이오, 다른 이의 목숨은 목숨이 아니다!"
"형제를 해하는 자 투명장에 따라 반드시 그를 죽일 것이다!"
"형제를 해하는 형제 투명장에 따라 반드시 그를 죽일 것이다!"
<명장>은 전체적으로 이 투명장의 결의를 통해 다져진 세 남자의 의리가 전쟁 속에서 사랑과 현실, 그리고 이상에 대한 가치로 인해 오는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어쩌면 이런 갈등은 필연적이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사실 방청운과 조이오, 강오양은 출신 성분부터가 달랐다. (전장 속에서) 방청운이 프로라면 조이오와 강오양은 아마추어이다. 단지 도적패일 뿐이었다. 조이호는 단지 병사들만이 아닌 마을 전체를 돌보던 인물이다. 그에게 있어서 도덕과 신의는 버릴 수 없던 것이었다.
하지만 방청운은 아군이 모두 죽은 전쟁터 속에서도 자존심까지 버리며 혼자 죽은 척하며 살았던 사내이다. 그에게 의리라는건 애초에 없었다. 투명장이란 것을 믿지도 않았던 사람이다. 전쟁 속에서 인정따위는 사치일 뿐이라고 몸소 깨달은 인물이다. 그리고 방청운에겐 출세욕이 있었고, 야망이 있었다.
이런 갈등과 가치관의 차이는 전쟁 속에선 공동체 의식으로 인해 내부의 적보단 외부의 적에 더 집중하게 해준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뒤 갈등의 골은 더 깊어져있고, 피로 맺은 의는 사라지기 마련이다.
<명장>은 전체적으로 대륙적 스케일을 잘 보여준다. 전투장면도 꽤나 사실성있게 표현했고, 세명의 주인공 역시 그들 사이의 갈등이나 심리를 잘 연기한 것 같다. 오랜만에 꽤 괜찮은 중국영화를 만난 것 같다. 왜 이 영화가 18세 이상 관람가인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8.0점
영화 상에서 투명장은 <삼국지>의 도원결의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투명장을 바치니 이제부터 형제들의 목숨만 진정한 목숨이오, 다른 이의 목숨은 목숨이 아니다!"
"형제를 해하는 자 투명장에 따라 반드시 그를 죽일 것이다!"
"형제를 해하는 형제 투명장에 따라 반드시 그를 죽일 것이다!"
<명장>은 전체적으로 이 투명장의 결의를 통해 다져진 세 남자의 의리가 전쟁 속에서 사랑과 현실, 그리고 이상에 대한 가치로 인해 오는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어쩌면 이런 갈등은 필연적이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사실 방청운과 조이오, 강오양은 출신 성분부터가 달랐다. (전장 속에서) 방청운이 프로라면 조이오와 강오양은 아마추어이다. 단지 도적패일 뿐이었다. 조이호는 단지 병사들만이 아닌 마을 전체를 돌보던 인물이다. 그에게 있어서 도덕과 신의는 버릴 수 없던 것이었다.
하지만 방청운은 아군이 모두 죽은 전쟁터 속에서도 자존심까지 버리며 혼자 죽은 척하며 살았던 사내이다. 그에게 의리라는건 애초에 없었다. 투명장이란 것을 믿지도 않았던 사람이다. 전쟁 속에서 인정따위는 사치일 뿐이라고 몸소 깨달은 인물이다. 그리고 방청운에겐 출세욕이 있었고, 야망이 있었다.
이런 갈등과 가치관의 차이는 전쟁 속에선 공동체 의식으로 인해 내부의 적보단 외부의 적에 더 집중하게 해준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뒤 갈등의 골은 더 깊어져있고, 피로 맺은 의는 사라지기 마련이다.
<명장>은 전체적으로 대륙적 스케일을 잘 보여준다. 전투장면도 꽤나 사실성있게 표현했고, 세명의 주인공 역시 그들 사이의 갈등이나 심리를 잘 연기한 것 같다. 오랜만에 꽤 괜찮은 중국영화를 만난 것 같다. 왜 이 영화가 18세 이상 관람가인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8.0점
반응형